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

제 2강 사회 복지와 자본주의 : 쇼핑몰과 공동체 -4 6. 애덤 스미스에 대한 의심 : 과연 이기적일 때 잘될까? 7년 형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공범의 죄수 둘이 잡혔다. 형사는 이들의 범죄에 대해 1년 형 정도에 해당하는 증거만 갖고 있어 두 사람을 각각 다른 방에서 심문하면서 유인책을 제시한다. 둘 다 자백하면 7년 형이고, 한 사람만 자백하면 자백하지 않은 사람은 14년형, 자백한 사람은 석방된다는 제안이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내시(J.Nash)의 균형이론은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인간이 도달하게 되는 판단의 지점을 보여 준다. 죄수 딜레마 이론은 결국 가장 최악의 결과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결과는 두 죄수가 모두 자백하여 7년 형을 사는 것으로 귀결된다. 왜냐하면 죄수 가와 나의 입장에서 볼 때 자백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 2024. 3. 19.
제 2강 사회 복지와 자본주의 : 쇼핑몰과 공동체 -3 5. 마르크스의 해석 : 이기적 인간과 착취의 세상 독일의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 과학적 사회주의의 창시자의 마르크스(K.Marx)는 노동자들이 열심히 일하는데도 왜 가난한가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드디어 그 원인을 찾아냈다. 노동자들이 자신들이 일한 것을 다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가난하다는 것이 마르크스의 생각이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자본이 어떻게 스스로 가치를 만드는지에 관한 이야기인 '자본론'에 설명된다. 동일한 인력과 생산력을 갖춘 A 공장과 B 공장을 예로 들어보자. A 공장에서는 노동자 10명이 케이크 30개를 만들어 1개당 1만 원에 팔았다. 이때 케이크 10개를 팔아 번 돈 10만 원은 기계 사용료(감가상각비), 재료비, 원료비 등으로 값을 지불했다. 그리고 나머지 돈 20만 원은 노동자.. 2024. 3. 19.
제 2강 사회 복지와 자본주의 : 쇼핑몰과 공동체 -2 3. 자본주의의 탄생, 이기적 인간의 탄생 자본은 이윤을 창출하는 돈이다. 투자해서 이윤을 내는 돈을 자본이라고 한다. 술을 마실 돈은 자본이 아니라 그냥 돈이다. 앞서 보았듯이 봉건제는 엄밀히 말하면 자본이 없었다. 투자해서 이윤과 이자를 받으면 안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본주의는 자본이 중심에 등장한 사회이다. 자본을 가진 사람들을 부르주아지라고 불렀다. 그들은 초기에 영지를 떠나 도시 성벽에 모여 물건을 만들고 팔면서 생겨났다. 그런데 봉건제가 그들의 활동을 가로막았다. 좀 더 넓은 시장과 자유로운 이동을 원하고, 따라서 여러 개로 쪼개진 영토가 하나가 되기를 바라는 그들에게 봉건제는 큰 걸림돌이었다. 그들은 힘이 세어지자 당시 유명무실했던 군주를 찾아가 돈을 바치면서 넓은 통일된 시장을 만들기.. 2024. 3. 12.
제 2강 사회 복지와 자본주의 : 쇼핑몰과 공동체 -1 1. 질문: 이기적인가 이타적인가 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던져야 하는 질문은 '인간은 이기적인가?라는 것이다. 인간을 이기적이라고 얘기하는 학자와 이타적이라고 얘기하는 학자들이 있다. 자본주의는 인간은 이기적이고 이기적인 것이 좋다고 한다. 이기적이어야 진보할 수 있고,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고 한다. 도대체 무슨 근거로 그렇게 말하는 가? 자본주의에는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 2. 봉건제: 토지와 의무 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모태인 봉건제를 이해해야 한다. 봉건제는 철저하게 이기적인 것을 억압했다. 신의 뜻에 따라 살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이 맥락에서 봉건제에서는 인간을 운명적인 존재로 보았다. 즉 자기가 타고난 운명대로 살다가 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시대 사.. 2024. 3. 12.
반응형